단둘이 살던 종로 노부부 어떻게 감염 …30번째 확진자 미스테리

단둘이 살던 종로 노부부 어떻게 감염 …30번째 확진자 미스테리

디케DIKE 0 854
© ⓒ중앙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29번째 확진환자(82·남)가 종로구민으로 밝혀진 16일 확진자의 자택 인근에서 방역작업이 이뤄지고 있다.[뉴스1]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29번째 확진환자(82·남)가 종로구민으로 밝혀진 16일 확진자의 자택 인근에서 방역작업이 이뤄지고 있다.[뉴스1]

국내에서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잇달아 발생했다.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에 사는 82세 남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9번째 확진자로 판정받은데 이어 그의 부인(68)도 이날 밤 확진 받아 30번째 확진자가 됐다. 두 사람은 당국의 방역망 밖에 있던 환자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29번째 확진자는 지난해 12월 이후 해외여행을 다녀온 이력이 없고, 신종 코로나 환자의 접촉자도 아니다. 30번째 확진자도 아직까지 뚜렷한 접촉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29번 환자가 양성 판정을 받은 직후 30번 환자는 자가격리에 들어갔고 즉시 검사를 실시했다. 특별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검사 결과 양성이 나왔다.

 

정 본부장은 16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지금 조사가 진행 되는 방향은 이분(29번 환자)의 동거가족, 그 다음에 이 분의 친구분들, 그러니까 감염가능한 시기에 만난 두 가지 조사를 하고 있다”며 “하나는 일단 노출자들에 대한 접촉자 파악을 하는 해서 선조치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그 다음에 이분이 어디서 감염됐는지에 대한 감염경로 조사를 같이 진행하고 있고 당연히 기존에 알려진 확진자 또는 접촉자와의 노출이 있었는지 그 부분도 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저희가 지금까지 확인한 바로는 동거가족은 부인하고 거주하고 있다. 부인께서는 현재 증상은 없으신 것으로 확인했다”라고 덧붙였다.  

 

29·30번 환자는 단둘이 살고 있다. 자녀들은 해외에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이 누구에게서 감염됐을지 연결 고리가 드러나지 않으면서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이 제기됐다. 

 

현재로서는 부부 중 29번 환자와 30번 환자 누가 먼저 감염됐을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부부가 동시에 감염원에 노출됐을 수도, 부부 중 한 사람이 먼저 걸린 뒤 상대에게 옮겼을 수도 있다. 

 

29번 환자는 신종코로나 증상이 나타나서 병원을 찾은게 아니라 흉통 등 심근경색 증상으로 병원에 갔다. 흉통이 없었다면 신종코로나 검사를 받을 일이 없었을테고 그렇다면 감염 사실을 모른채 일상생활을 이어갔을 상황이다. 

 

29번 환자는 국내 확진자 중 최고령으로 기존에 심장질환을 앓고 있었다. 그는 지난 15일 오전 심장에 이상 증상을 느끼고 동네병원 2곳을 찾았다가 관상동맥 이상 소견을 받았다. 이후 가슴 통증 증상이 심해지자 이날 오전 11시 46분 고려대안암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이 병원 응급실에서는 그를 심근경색 의심 환자로 보고 심장검사와 흉부X선 검사를 했는데, 이때 미약하게 폐렴이 의심된다는 소견이 나왔다. 의료진은 이후 이 환자에 대해 컴퓨터단층촬영(CT)검사를 했고, 바이러스성 폐렴이 확인돼 응급실 내 음압격리병실로 옮기고 신종 코로나 검사를 했다. 

 

그는 양성 판정을 받은 뒤 16일 오전 1시 서울대병원으로 옮겨졌다. 이 환자는 발열이나 기침 증상이 전혀 없었고, 여행 이력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29번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고려대안암병원 응급실은 폐쇄에 들어갔다. 이 환자를 진료했던 응급실 의료진 36명과 당시 응급실에 있던 환자 6명도 격리됐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역학조사를 해보면 30번 환자가 뭔가 접촉력이 있어서 먼저 감염됐을 가능성도 있다. 그렇다면 오히려 감염경로 찾을 수 있게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영호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전염성이 강하고 치명적이지 않아 무증상 감염자로부터 지역사회 불특정 시민에게 전파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김동현 한림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한국역학회장)는 "학회 차원에서 일주일 전 쯤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사회 감염이 나올 것 같다는 예측을 했다.일본이나 싱가포르에서 이미 감염경로 없는 환자가 나왔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시간 문제라고 봤다. 안 나왔으면 좋겠지만 나올거라고 예상들을 했다"며 "지역사회 감염이 되면 감염병 관리의 기본 대응이 좀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제 앞으로는 지금처럼 '원천봉쇄' 격리하는게 더이상 가능하지 않다. 어떤 경로로 생긴지 모르는데 밀접접촉자 관리, 자가격리가 안된다. 발생 환자를 조기에 찾아내고 이들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이들에 의한 2차 감염이 생기지 않도록 막는 전략으로 바뀔 것이다. 피해를 최소화하는 '완화정책'으로 가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0 Comments
반응형 구글광고 등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