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 활력은 산채의 제왕 두릅으로!


봄의 활력은 산채의 제왕 두릅으로!


나른한 봄날, 입맛을 되찾고 피로를 이기는데는 봄나물이 제격이다. 특히 두릅은 머리를 맑게 해 주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에게 좋다.



'계절의 여왕'인 봄에 나는 나물 중에 '산채의 제왕'이라 불리는 것이 있는데요, 바로 '두릅'입니다.

두릅은 이름만 들어도 입속에 향기가 돕니다. 아마도 먹고 나면 하루쯤은 그 향기로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두릅의 향은 우리에게 봄을 선사합니다. 길고 긴 겨울을 보내고 나면 우리 몸은 자연히 나른해지는데 이를 예부터 춘곤증이라고 불렀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이에 대한 해결책도 같이 가지고 있었습니다. 바로 봄이면 산과 들에 지천으로 나는 봄나물들이 그 해결책으로, 봄이 되면 겨울 동안 떨어진 면역력을 회복하고 춘곤증을 이기기 위해 제철 나물인 봄나물을 먹어야 합니다. 특히 봄에 새로 나는 어린 싹 대부분은 약한 쓴맛을 갖는데, 약한 쓴맛은 열을 내리고, 나른해지면서 무거운 것을 치료하며, 입맛을 돋우는 작용을 합니다.

과거부터 채소는 우리 민족의 생명줄 이었습니다. 우리가 먹을 것이 없는 상태를 '기근'이 들었다고 표현하는데 '기(饑)'는 곡식이 여물지 않아서 생기는 굶주림을 말하고 '근(饉)'은 채소가 자라지 않아서 생기는 굶주림을 일컬었습니다. 즉, 오곡의 곡물 못지않게 채소의 중요성을 가르쳤습니다. 먹을거리가 넘쳐나 영양 과잉이 문제가 되는 현대 사회에서는 기근의 해결로서가 아니라 비만의 해결책으로 나물은 최고의 음식으로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습니다. 나물은 현대 사회의 먹을거리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생명줄 인 것입니다.

이렇게 산과 들에 지천으로 나는 나물 중에서도 가장 으뜸인 나물이 바로 두릅입니다. 두릅은 두릅나무에 달리는 새순을 말하는데, 그 독특한 향이 일품입니다, 두릅은 땅두릅과 나무두릅이 있는데 땅두릅은 4∼5월에 돋아나는 새순을 땅을 파서 잘라낸 것이고, 나무두릅은 나무에 달리는 새순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두릅은 10여 종에 이르는데 봄철의 어린순을 먹고, 한문으로는 나무의 머리 채소라는 뜻으로 '목두채(木頭菜)'라 합니다. 자연산 두릅은 4~5월에 잠깐 동안 먹을 수 있는데, 요즘은 비닐하우스에서 인공 재배를 하므로 이른 봄부터 나옵니다.

두릅은 비교적 단백질이 많으며, 섬유질과 칼슘, 철분,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등이 풍부합니다. 특히 쌉쌀한 맛을 내는 사포닌 성분이 혈액순환을 돕고, 혈당을 내리고 혈중지질을 낮추어 줍니다. 두릅은 이렇게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또한 간에 쌓인 독소를 풀어내는 효능이 있고 피와 정신을 맑게 합니다. 냉이, 달래, 쑥, 원추리, 돌나물 등 숱한 봄나물이 있지만 '두릅'은 사포닌 성분 때문에 최고로 치기도 합니다.

두릅은 어떻게 조리해 먹는 것이 좋을까? 껍질에서부터 순, 잎, 뿌리까지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 두릅은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먹는 방법을 가장 많이 알고 있지만 산적, 잡채, 김치 등 다양한 요리에도 향긋하게 잘 어울립니다. 두릅은 어리고 연한 것을 골라 껍질째 연한 소금물에 삶아 찬물에 헹궈 건집니다. 이때 두릅의 쓴맛은 몸에 좋은 성분이지만 거슬린다면 끓는 물에 데쳐서 찬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내면 됩니다. 삶은 두릅을 상온에 오래 두면 색깔이 변하므로 주의하고 또한 오래 보관하고 싶으면 소금에 절이거나 얼리면 됩니다.

조선말기의 유명한 조리서인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도 두릅에 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생두릅을 물러지지 않게 잠깐 삶아 약에 감초 쓰듯 어슷하게 썰어 놓고 소금과 깨를 뿌리고 기름을 흥건하도록 쳐서 주무르면 풋나물 중에 극상등이요, 싫어하는 사람이 없다. 많이 먹으면 설사가 나므로 조금만 먹는 것이 좋다"고 했습니다. 두릅은 실제로 약한 독성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데쳐서 헹구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이 봄, 우리는 다른 호사를 누리지 못하더라도, 나물의 제왕, 두릅으로 향긋한 봄 향기를 느끼는 호사만은 놓치지 맙시다.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 미래과학연구원 제공

0 Comments
반응형 구글광고 등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